조성자 「제주를 기억해」
제주 4·3을 기억하는 이야기
조성자 작가가 4·3의 슬픈 역사를 돌아보는 어린이 문학, 「제주를 기억해」를 출간했다.
아빠의 이름인 '기억', 동생의 이름인 '평화', 자신의 이름인 '공유'. 따로 보면 흔한 단어들이지만, 한 가족의 이름으로 묶이기엔 조금 독특하다. 이야기는 주인공 공유의 질문으로 시작된다. "아빠, 제 이름은 왜 공유예요"라는 평범한 질문에, 아빠는 기다렸다는 듯 제주도행 비행기표를 예매한다. 공유 가족의 이름에 얽힌 비밀을 알기 위해선 제주로 떠나야 한다는 말과 함께 말이다.
공유 가족이 도착한 곳은 '제주 4.3 평화 기념관'이다. 그곳에서 공유는 충격적인 사실을 듣는다. 지금으로부터 약 75년 전, 제주도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학살당했고, 자신의 증조할아버지도 그 피해자 중 한 사람이라는 것이었다.
피해자들이 죽어 간 다랑쉬굴 전시실 앞에서 공유는 흐르는 눈물을 닦으며 외친다.
"증조할아버지, 뵙고 싶어요" 그러자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공유의 몸이 붕 떠오르더니 정신이 아득해지고, 이내 낯선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공유를 깨운 것은 자기 또래로 보이는 학생이었다. 까까머리에 서글서글한 큰 눈망울을 가진, 할아버지와 이름이 똑같은 소년, 유성. 유성이는 친절한 설명과 함께 오늘이 1947년 3월 1일이며, 삼일절 기념행사가 열리는 날이라고 알려준다. 하지만 그날은 경찰과 군인이 무고한 민간인을 학살하는 비극이 시작된 날이기도 했다. 역사의 한가운데로 들어간 공유는 그날의 제주를 직접 목격하게 된다.
사람들이 무참히 죽어 나가는 현실 앞에 공유는 말을 잃게 된다. 이웃을 잃고, 친구를 잃고, 부모를 잃은 사람들에게 위로를 건네고 싶어도 목소리는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과거 제주도에서 일어난 참혹한 비극을 제대로 마주하기 위해, 그리고 공유라는 이름에 담긴 의미를 알아내기 위해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도 어떻게든 위로의 말을 전하려는 공유의 마음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과거 4·3 희생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위로의 마음과 닮아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마치 주문처럼 '기억해야 한다'는 말을 되뇌인다. 아랫집 오씨 아저씨가 총에 맞아 쓰러질 때도, 아기를 안고 맨발로 뛰어나가던 어머니의 등에 총알이 박힐 때도, 누군가의 삶이 담긴 집들이 불타 사라질 때도 사람들은 "기억해야 한다. 이 일을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이 참혹한 역사를 기억하고 공유하는 것만이 평화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듯이 말이다. 현암주니어. 1만4000원.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과정과 제주도민의 저항
권무일 「제주 바다의 슬픈 역사」
도민들에게 횡포 저지른 일본의 악행
권무일 작가가 「제주 바다의 슬픈 역사」를 펴냈다.
이 책은 일본이 1876년부터 1905년까지 제주 바다를 침탈해서 황폐화하고, 제주도민들에게 횡포를 저지른 일을 쓴 글이다. 일본의 조선 식민화 과정과 제주도민의 저항에 대해 쓸 글이고, 조선말기 제주도민이 바다를 빼앗기고 자존심까지 뭉개졌던 슬픈 역사에 관한 기술이다.
1876년 개항 이후 1905년 을사늑약까지의 30년간의 역사는 잊혀진, 후대인들의 뇌리에서 사라진 역사였다. 아니 차라리 잊어버리고 싶은 치욕의 역사였다. 일본이 조선을 야금야금 잠식하면서 사람들의 정신을 빼앗고 종국에는 우리나라의 주권, 영토, 민족문화와 영혼을 말살시켜가는 시기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선이 4면의 바다를 일본에게 내주고 이로 인해 일본 어업이 조선의 사해 특히 제주 바다를 싹쓸이한 역사적 사실이 한국 사학계의 정사에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았다. 당시 상황이 중차대한 사건의 연속임에도 이 방면의 연구자는 적었고 역사학자들도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다. 제주도에서도 단편적인 것 이외에는 거의 기록을 찾을 수 없었고 있다 해도 왜곡됐다.
작가가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첫째, 구한말 서구열강과 일본을 비롯한 주변국들이 우리나라를 두고 서로 각축을 벌일 때 당대의 위정자들이 국제정세와 강대국의 야욕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정쟁만 일삼았던 시절, 백성들은 국가의 위기 앞에서도 민족정기를 꿋꿋이 이어온 지혜롭고 강인한 민족이기에 오늘날 혼돈의 시기에도 더욱 뚜렷한 국가관을 가질 것을 기대하면서 이 글을 썼다.
둘째, 일본이 우리나라를 빼앗기 위해 수십 년간 첩자를 보내 탐색하고, 역사를 왜곡하고 우리 민족의 전통과 풍속을 천대시했던 역사적 사실을 현시점에서 일본인들에게 알려줘 그들의 뇌리에 박힌 조선 인식을 바로잡아 주고자 했다.
셋째, 우리는 일본을 얼마나 알고 있는가. 일본을 연구하는 사람은 얼마나 되는가. 우리는 지난날의 불행한 역사를 되뇌면서도 일본을 알려하지 않고 친일 또는 반일의 잣대로 스스로를 얽어매고 있다. 이 글이 일본을 더 알고자 공부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넷째, 제주가 한반도에서는 변방이라지만 동아시아 해역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음에, 장차 제주가 동북아 나아가서 세계의 중심추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을 확신하면서, 도민이 슬픈 역사와 아픈 과거를 극복하고 빛나는 미래를 지향해 갈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 마음으로 썼다. 평민사. 2만원.
4·3으로 이어진 역사적 과정
고승우 「거꾸로 읽는 제주 4·3사」
고승우 작가의 「거꾸로 읽는 제주 4·3사」는 제주4·3으로 이어진 직간접적 동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기 위해 제주4·3을 결과로 제시하고, 그 원인이나 과정을 추적해 나가는 방식인 '귀납적 역사 서술 방식'으로 쓴 논픽션이다.
역사를 거꾸로 기술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제주4·3을 맨 먼저 소개하고 그 이전 역사적 과정인 남한 단정 추진, 한반도 군정, 태평양전쟁, 일제의 한반도 강점, 조선 말기의 조미통상 등의 순서로 기술했다.
이 책의 주요 내용은 19세기 말 조미 수교 과정이후 미국 정부의 외교문서와 비밀 해제된 한미관계 자료 등을 통해 제주4·3으로 이어진 역사적 과정을 소개했다. 퍼플. 1만5000원.
삶의 여정에 대한 도전과 극복
이규운 「제주에서 평양까지, 마라톤 인생 30년」
이규운 작가가 「제주에서 평양까지, 마라톤 인생 30년」를 펴냈다.
저자는 지난 마라톤 비즈니스 여정을 되돌아보는 이 책을 통해 마라톤 행사 기획자이자 행사 진행자로서의 스스로 되돌아본다.
저자는 지난 세월 일조한 한국 아마추어 마라톤 부흥이라는 역사적 의미와 사회적 효용성에 대해 저자의 나름의 관점과 시각으로 그 실상을 독자들에게 제대로 전달하기를 고대한다.
이 책은 단순히 마라톤대회의 기획과 진행에 관한 그 숨은 이야기를 펼치려는 것만은 아니다. 우리 모든 이의 삶의 여정에 대한 도전과 극복, 그리고 사람들과의 네트워크와 소통에 관한 이야기다. 글로벌마인드. 1만8000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