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들이 제주를 찾은 이재명 정부에 다양한 민원 해결을 요구했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 국민주권위원회는 그제 제주시·서귀포시 현장에서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들었다. 주민 의견 대부분은 일선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이다. 마을회 갈등부터 '베이붐세대'의 신중년 일자리 부족,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갈치 어장 확보를 위한 한·일 어업협정 체결, 성산읍 신양섭지해수욕장 구멍갈파래 피해 구제 등 70여건이 제출됐다.

마을회 갈등 등 제주도가 해결할 수 있는 의견도 있지만 해양수산 관련 부문은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 무엇보다 어선주협의회가 요구한 한·일 어업협정 타결은 미룰 수 없는 과제다. 2016년 7월 협정 결렬로 일본 EEZ 내에서 제주 등 갈치 조업이 금지돼 타격을 입고 있다. 어민들이 거리가 일본 EEZ보다 3배 먼 동중국해까지 조업에 나섬으로써 유류비 부담은 물론 안전사고 위험까지 높은 실정이다. 특히 제주 해상은 이상기후에 의한 고수온까지 겹치면서 갈치 생산량이 급감해 어민들이 생존 위기에 놓여있다..

매년 악취를 풍기는 신양섭지해수욕장 구멍갈파래 제거 역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뒷받침이 요구된다. 국민주권위의 현장 방문이 단순한 경청 수준의 의견 수렴에 그치거나 해결책을 차일피일 미루면 국정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제주도 역시 정부와 민원인 간의 가교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도민들의 어려움을 조속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