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한전 긴급 회의 개최
3일 사고 계기 도민 불편
재난문자 기준 완화 논의
기존 대응체계 보완 방침
속보=제주에서 대규모 정전사태가 발생했음에도 도민들이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본보 8월 5일자 5면)과 관련해 제주도가 도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일 제주도에 따르면 지난 3일 발생한 도내 일부 지역 정전을 계기로 유사시 도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재난안전문자 발송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등 신속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도는 5일 도내 유관부서와 한국전력공사 제주본부가 참여한 가운데 정전 대응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하고 향후 정전 발생 시 관계기관 간 정보 공유 및 협조체계 강화, 도민 안내체계 보완 등을 중점 논의했다.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 및 태풍, 전력기기 사용량 증가 등으로 정전 위험이 커지는 시기를 앞두고 기관 간 소통 체계 정비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회의 결과 유관기관 간 실시간 상황 공유 체계를 구축하고 정전 안내 문자 표준안과 발송기준을 마련하기로 했다.
특히 행안부 기준인 '공급하지 못한 전력량 120㎿ 이상'에 미치지 못하는 정전이 발생해도 별도 발송기준을 마련해 재난안전문자를 도민들에게 전송할 계획이다.
이 문자의 경우 한전에서 자체기준을 마련하고 도와 협의한다.
조상범 도 안전건강실장은 "정전은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넘어 기반시설 기능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위험"이라며 "관련부서 및 기관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대응체계를 지속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지난 3일 오후 9시 38분부터 46분까지 제주시내 3만1000여 가구에서 정전이 발생했다. 발생 지역은 이도동, 일도동, 아라동, 건입동, 도련동 등이다. 이 사고로 엘리베이터 갇힘 등 300여건의 119신고접수가 이뤄지는 등 혼란이 발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