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독도 몽돌해안에서 제주·울릉 해녀 10명참여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도를 수호하던 제주해녀들의 모습이 8일 독도 몽돌해안에서 재현됐다.

제주도·울릉도 해녀들이 바다에 뛰어들어 과거 총칼 없이 평화롭게 영토를 지켜냈던 역사를 재현한 것이다.  

이날 물질 시연에는 제주․울릉 해녀 10여 명이 참여했다. 해녀들은 숙련된 솜씨로 해산물을 채취하는 물질 시연을 벌이고, 바다 위에 대형 태극기를 펼치며 공동체 연대와 해양주권의 의지를 다졌다.

이번 퍼포먼스는 제주 해녀들이 오늘날까지도 후세에 전하는 살아있는 증언이자, 해양을 수호하는 공동체라는 점을 보여줬다.

당시 독도의용수비대는 운영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해녀들이 채취한 값비싼 자연산 독도 미역과 전복 판매 수익은 수비대 운영비로 쓰였다.

더 중요한 것은 해녀들의 어업 활동 자체가 독도 영유권을 입증하는 가장 확실한 증거가 됐다는 점이다. 우리 국민이 독도에서 일상적으로 경제활동을 한다는 사실은 강력한 실효적 지배의 근거였다.

물질 시연 후에는 독도 등대지기, 중앙119 소방관 등 독도 근무자 6명에게 제주해녀들이 정성껏 준비한 '제주해녀 밥상'이 전달됐다.

유용예 제주도해녀협회 감사는 "제주해녀 숨비소리가 독도 동도와 서도 사이에 가득 울려퍼진 것이 가슴 벅찼다"며 특히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더욱 감동스럽고 경이로운 순간이었고 제주해녀가 언제든지 바다를 통해 문화교류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까지 제주해녀들이 독도 바다에서 물질하며 독도를 지키는 조력자 역할을 충분히 해냈다"며 "해녀들의 역사적 역할을 다시 한번 조명하고, 앞으로도 독도 바다를 지키고 가꿔나간다는 의미를 현장에서 확인했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앞으로도 해녀문화의 전승과 해양공동체 간 교류를 통해, 독도와 해양주권을 지키는 해녀정신을 지속적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번 독도 물질 시연 행사는 지난 7일 예정됐지만 현지 기상 여건으로 이날 진행됐다. 김하나 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