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회가 제주도의 제2회 추경예산안을 심사하면서 기초자치단체 설치 예산을 비롯한 일부를 과감히 삭감하고, 민생 안정과 경기 회복에 무게를 실었다. 기초단체 예산은 주민투표 등 절차가 확정된 뒤 집행한다는 단서를 달았고, 버스준공영제 예산을 포함한 총 125억원을 감액해 시급한 사업에 재편성했다. 이는 한정된 재원을 효율적으로 쓰겠다는 의지로, 민생을 우선한 판단으로 평가된다. 재정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도민 생활과 직결된 사업을 먼저 챙겼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그러나 예산 조정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책임 있는 집행이다. 아무리 좋은 사업이라 해도 집행 속도가 늦어지면 도민들이 체감할 수 없다. 이번 추경에 담긴 지역상권 활성화, 보육·돌봄 확대, 청년 주거 지원, 탐나는전·공공배달앱 활성화 등의 사업은 모두 당장의 생활 안정과 직결되는 사업들로 예산이 제때 투입돼야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농어민들에게 신속한 예산 집행은 생존이 달린 문제다.
도정은 이번 추경이 민생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속도감 있는 집행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동시에 집행 과정에서 불필요한 낭비를 철저히 걸러내고 성과를 점검해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재정의 효율성과 신속성, 그리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다. 이번 추경이 도민들의 삶을 지탱하는 든든한 버팀목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