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도의회는 지난해 7월 도민 공론화를 거쳐 확정한 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 3개 기초자치단체 설치의 주민투표 실시를 정부에 요구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국회의원(제주시을)과 제주연구원의 뒤늦은 여론조사 행태가 점입가경이다. 김 의원은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채 실시한 여론조사를 2개월 늦게 발표하고, 제주연구원은 특정 답변을 유도하는 문항을 설계함으로써 '여론 왜곡' 시비를 초래하고 있다.

이상봉 도의회 의장이 지난 21일부터 강행하는 여론조사도 마찬가지다. 질문 문항을 사전에 공개해 중립성 확보에 노력했다고 밝혔지만 '오십보백보' 수준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응답자에게 충분한 선택 정보를 제공하지 못해 여론을 왜곡시킬 문제는 매한가지다. 오히려 제주도가 조사 결과 수용을 거부하고, 김 의원·정부 역시 수용 여부를 밝히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질뿐더러 혈세 낭비만 초래할 수 있다. 

기초자치단체를 몇 개 만들지의 행정구역 개편안은 저마다 선호 모형이 다른 '뜨거운 감자'다. 그래서 대안별 장·단점 등 충분한 정보 제공이 뒤따르지 않는 여론조사는 '여론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행정구역은 막대한 시간·비용을 들여 충분한 정보 제공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도민 의견 수렴 등의 공론화를 거친 3개 로드맵을 기준으로 추진돼야 한다. 주민투표를 통해 3개 기초자치단체를 국정에 반영시키려면 도민 역량을 고갈시키는 여론조사부터 퇴출시켜야 한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