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행정·의회 등 주체 따라 선호도 달라 신뢰도 하락 우려
제주연구원 3개 기초시 찬성↑...민주당 도당·도의회 반대 우세

최근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을 둘러싼 3개 여론조사가 공개됐지만, 결과가 조사를 의뢰한 주체에 따라 뒤바뀌면서 신뢰도가 떨어지고 논란만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제주도 행정체제개편위원회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3개 기초자치단체(동제주시·서제주시·서귀포시)를 도입하는 행정체제 개편 모델을 도출했다.

하지만 지난달 6일 더불어민주당 제주도당이 대선 기간인 5월 말에 진행했다며 갑작스럽게 공개한 기초자치단체 도입 관련 도민 여론조사에서는 3개 기초단체에 대해 반대 의견이 43.1%로 높았으며, 찬성은 35.9%로 나타났다.

2개월 만에 이뤄진 비공개 조사 결과 발표는 제주도당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한규 국회의원(제주시을)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제주도 정책 방향과 다르게 '제주시 쪼개기 방지법'까지 발의하며 제주시를 동·서로 나누는 것에 반대하고 있다.

이후 지난달 21일 제주도 산하 연구기관인 제주연구원이 발표한 '민선 8기 3년 제주도정 성과 도민 인식조사'에서는 3개 기초단체 설치에 찬성하는 응답자가 46.3%로 반대(34.9%)보다 많았다. 기초단체 출범 시기 또한 63%가 내년이 적정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2일 이상봉 제주도의회 의장 주도로 실시된 제주도의회 여론조사에서는 3개 기초단체 설치보다 현행 행정구역인 제주시·서귀포시를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이처럼 행정안전부가 주민투표 시행 여부를 결정하기 앞서 지역내 의견을 종합한 '행정체제 개편 단일안'을 요구한 가운데 지역 국회의원과 제주도, 도의회 사이에서도 엇박자를 보이면서 내년 7월 도입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김은수 기자

제주도 기초단체 구성 홍보물. 사진=연합뉴스
제주도 기초단체 구성 홍보물.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