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서귀포시체육회가 올해로 정치와 체육이 분리된 민선시대 개막 5년째를 맞는다. 하지만 내부에서 불미스러운 일들이 이어져 부끄럽다. 제주시체육회는 작년 12월부터 올해 4월까지 내부에서 발생한 체육시설 사용료 징수액의 횡령 사건을 처벌하기는커녕 사직 처리해 '솜방망이'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횡령 직원이 원하면 향후 경력직 재취업의 길을 열어줬다는 비판까지 도의회에서 집중 제기됐다. 체육회가 내부 징계 규정까지 스스로 무시한 것이 아닌지 의심스럽다.
서귀포시체육회는 여직원 성추행 범죄 혐의를 받는 소속 가맹단체장을 경징계 처리해 '솜방망이 처벌' 논란에 휩싸였다. 사실상 회장이 위원을 선임하는 인사위원회가 퇴임 처리가 아닌 '자격 정지 5개월'의 가벼운 징계를 내린 것이 발단이다. 해당 종목협회장이 검찰 조사를 받고 있는 가운데 도내 한 여성단체가 사퇴를 촉구하고, 서귀포시체육회에 대해서도 단호한 징계 조치 및 피해자 보호 조치를 요구하는 등 파문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도민의 신뢰를 저버린 제주시·서귀포시체육회의 자화상은 선출직 회장 1명이 체육회 운영을 사실상 좌지우지하는 민선시대의 고질적 병폐와 다르지 않다. 특히 횡령 사건은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주시의 조사 과정에서 드러나 체육회가 자정 기능을 잃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래서 민선 체육회가 도민의 눈높이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려면 보조금을 지원하는 행정당국의 철저한 지도·감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