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에 시간당 50㎜ 이상의 극한 호우가 내리면서 인명·재산 피해가 적지 않다. 제주 역시 마찬가지다. 15일 낮에 짧은 시간이지만 극한 호우가 제주를 강타하면서 주택 침수 등 크고 작은 피해가 잇따랐다. 이상기후의 피해 안전지대가 아닐뿐더러 강력한 태풍까지 예고돼 피해가 우려스런 상황이다. 이에 도는 예방적 차원에서 내년 국·도비 668억원을 투입해 재해위험지구 18곳의 정비사업을 실시키로 했다.
문제는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속도다. 재해위험지구 개선 공사가 집중호우가 시작되는 우기 이전까지 마무리되지 못해 주민들의 불안감이 크다. 올해도 7월 이전까지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추진중인 한천·김녕·평대와 태흥2·신흥지구 등 일부 재해위험 정비사업의 공정률이 20%대에 머물거나 착공조차 하지 못해 '소걸음'식 재난관리의 민낯을 드러냈다. 행정당국의 치수대책에 주민들이 불신을 보내는 것은 당연하다.
행정당국의 치수대책이 주민들의 신뢰를 얻으려면 우기 이전 공사를 마무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재해 예방사업이 적기에 준공되지 못하면 '인재(人災)'로 이어지고, 그 피해는 주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특히 극한 호우의 빈도가 늘고 있어 예방책에 빈틈이 있어선 안된다. 이재명 대통령도 공무원 부주의로 사고가 발생하면 엄중 책임을 강조했다. 대통령의 지시를 들먹이지 않더라도 주민의 인명·재산 피해를 막는 것은 공직사회의 책무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