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이면 제주지역도 본격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그러나 고령을 앞둔 개인들의 노후 준비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다. 정부는 제3차 노후준비지원 기본계획을 통해 광역·지역 노후준비지원센터 확충과 상담·교육 체계 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관련 인프라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제주 역시 국민연금공단 제주지사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서비스가 이뤄지고 있어 지역 특성에 맞는 기반 마련이 절실하다.
제주지역은 특히 근로소득 수준이 전국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개인 차원의 노후 준비가 쉽지 않다. 낮은 임금과 불안정한 고용환경 속에서 은퇴 이후를 대비하기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광역센터 지정, 관련 조례 제정, 지역내 협의체 구성 등 노후 준비 지원의 틀을 만들고 정부와 지자체가 공동 책임을 지는 체계를 준비해야 한다. 단순 상담에서 나아가 재무·건강·대인관계·여가활동 등에서 부족한 부분에 대한 기관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노후 준비는 개인의 책임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사회적 과제다.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제주의 특수성을 반영한 맞춤형 대책을 세워야 한다. 한편으로는 노후를 부담으로 인식하기보다 새로운 삶의 단계라는 긍정적 인식으로의 전환을 이끌어야 한다. 초고령화된 제주가 건강하고 존엄한 노후를 보장하는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사회적 합의와 실천이 뒤따라야 할 시점이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