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지역안전지수가 10년째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에서 최하위 등급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은 결코 가볍게 넘길 사안이 아니다. 관광지 특성상 취약한 도난·주취폭력에 안전불감증, 응급대응 부족 등 생활문화 전반의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그제 열린 도민토론회에서 제시된 음주문화 개선, 자율방범대 지원, 응급처치 교육 강화 등은 모두 현실적 대안이지만 논의에만 그치지 않도록 제도화와 실행력 확보가 뒤따라야 한다.

제주도는 범죄·생활안전 분야 향상을 위해 지난해 12월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특단의 대책을 도출하고 민·관·경 협업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그 결과 올해 9월 기준 5대 범죄 발생 건수는 전년대비 14.5% 감소했고, 생활안전 관련 구급이송 건수도 23.2% 줄었다. 자율방범대원 수도 늘어나는 등 통계상 개선세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도민들이 체감하는 안전으로 변화가 이뤄지기 위해서는 행정과 치안, 소방, 시민사회의 협력 구조가 필수적이다.

특히 토론회에서 제시된 것처럼 관광지의 특성을 고려한 외국인·관광객 대상 안전캠페인과 시설물 개선, 고령층 맞춤형 안전교육 등 대상별로 세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안전지수를 높이는 데는 행정의 역할 뿐만 아니라 도민들이 스스로 안전의식도 중요하다. 제주가 진정한 의미의 국제안전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위험요소 신고 등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들을 홍보하고 도민들이 참여하는 협력적 안전문화가 정착돼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