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년 전의 아픔이 아직도 왜곡과 폄훼의 대상이 되고 있어 참으로 안타깝다. 제주4·3은 대한민국 현대사의 비극으로 국가가 공식적으로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약속한 역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 여전히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가해자 미화, 희생자 폄하 행위를 이어가고 있다. 제주도가 '4·3역사 왜곡 대응 안내판 설치 자문단'을 구성하고 대응에 나선 것은 반드시 필요한 조치다.

자문단은 최근 첫 회의에서 4·3 왜곡 논란이 있는 비석과 표지석에 대해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안내판을 설치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특히 북촌 대학살을 주도한 함병선 장군 공적비, 강경 진압의 대표적 인물로  알려진 박진경 대령 추도비 등은 밝혀진 진실을 기록하는 안내판 설치가 시급하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잘못을 지적하는 일이 아닌, 역사 앞에서 공동체가 반성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는 과정이다.

제주도의 이번 조치는 4·3의 진실을 바로 세우는 일이다. 사실을 적시한 안내판이 설치될 경우 반발이나 논쟁이 발생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그러나 이는 왜곡과 망언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4·3의 역사가 정치적 입장에 따라 흔들려서는 안된다. 제주도가 추진하는 가칭 '진실의 비' 설치와 관련 제도개선이 4·3의 명예를 지키고, 더 이상 역사 왜곡 시도가 발붙이지 못하는 사회를 만드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