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연구센터·언론학회 등
21일 '인권 감수성' 교류세미나
제주학·언론학 공동책무 확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완병)는 ㈔제주언론학회(회장 김형훈), ㈔언론인권센터(대표 심영섭)과 공동으로 21일 제주인권교육센터에서 '지역 기록의 시선-인권 감수성' 주제 제주학-언론학 교류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제주도의회와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가 후원했으며, 인권 감수성의 관점에서 지역학과 언론학이 당면한 과제를 진단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이날 첫 번째 발표는 허찬행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가 맡아 '언론 보도 인권 감수성의 현주소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허찬행 이사는 2011년 인권보도준칙 제정 이후 10여년이 지났음에도 실제 보도 현장에서 준칙 준수 여부조차 충분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인권보도준칙 8개 분야에 노동·재난·자살·범죄·성폭력 등 4개 영역을 추가해 총 12개 분야별 보도 모니터링 지표를 설계하고 실제 분석을 진행했다고 소개했다.
허 이사는 "인권 문제는 단순히 위법 여부를 따지는 소극적 기준을 넘어, 비윤리적 보도를 피하고 인권 침해를 예방·감시하는 적극적 태도가 필요하다"며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특정 직업·성별·연령·지역에 대한 차별이 은연중 재생산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두 번째 발표자인 이정원 한국언론학회 이사는 '기후 재난 현장에서 묻는 사람의 안부-인권으로 고찰하는 제주 폭염의 기록'을 통해 기후위기 기록이 여전히 통계 중심의 단편적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정원 이사는 "제주지역 폭염 관련 보도 중 건강권·안전권을 다룬 기사는 매우 드물었다"며 "폭염이 노동자·노인·야외 취약계층에게 어떤 위험과 고통을 주었는지에 대한 심층 취재의 부족, 그리고 감귤·수산물 등 농·수산업 피해 중심의 기사로 편중된 구조적 한계가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록이 산업정책이나 재해예방 중심으로만 축적되면 기후 위기가 지역민의 삶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읽어낼 수 없다"며 "제주학아카이브 역시 기후변화 기록이 정책·행정 중심에 치우쳐 있어, 폭염 취약계층의 건강·안전 문제나 삶의 방식 변화 등을 담아내는 기능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