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자동차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비 일환으로 2030년까지 전기차 37만 7000대 보급사업을 추진중이다. 또 도내 운행차량의 75%를 전기차로 바꾸기 위해 구매보조금을 지원한 결과 점유율도 지난 8월 전국 첫 10%를 돌파할 만큼 성장세가 뚜렷하다. 최근에는 전기차 V2G가 포함된 제주 분산에너지 특화사업이 정부 공모에 최종 선정되면서 보급 확대에 날개를 달았다. 주행 후 남은 전기차 배터리의 전력을 판매할 수 있어 수요가 늘 전망이다.
하지만 내년도 전기차 구매보조금이 대폭 감소해 타당성 논란에 휩싸였다. 더불어민주당 한권 도의원에 따르면 내년 전기차 구매보조금 편성액이 올해 대비 60% 감소했다. 그 대신 수소차 구입 보조금을 신규 편성했지만 전기차 보급 확대에 차질이 우려된다. 도는 지난 6월에도 새로 수립한 전기차 중장기계획을 통해 보급 목표를 16만7000대로 축소해 정책 의지 후퇴 논란을 초래했다.
물론 '탄소 제로'의 에너지 대전환에 맞춰 수소차 보급 역시 중요하다. 문제는 한 의원의 분석처럼 전기차, 수소차 등 친환경 모빌리티 보급 로드맵 없이 추진되면 도민들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 특히 전기차 양방향 충전기,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은 채 보급에만 급급하면 구매자들만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중구난방식 정책은 삼가야 한다. 수요자 중심의 로드맵을 먼저 만들어야 친환경 모빌리티 보급 정책도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제민일보
webmaster@jemi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