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창간 16주년을 맞아 ‘특별자치도 제주호’의 2020년대 비전과 실천 과제를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에 응답한 도내 각계인사 205인이 제시한 제주의 경쟁력은 청정 자연환경을 토대로 한 세계적 관광·휴양중심지다. 이를 위한 과제는 국내외 투자유치·일자리 창출 확대 및 기반시설 확충 등을 통한 상주인구·관광객 규모 대폭 확대 등으로 지역경제규모를 키워야 한다는 것으로 집약됐다.
2006 제주시대, 비전 2020 도내 각계인사 205인 설문조사

□ 2020년대 변화 상

   
 
   
 
오는 2020년대 제주의 전반적인 변화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6.8%가 크게 달라질 것, 28.3%가 약간 달라질 것이라고 밝혀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했다. 변화가 없을것이라는 응답은 4.4%(별로 2.9%, 전혀 1.5%)에 그쳤다.

2020년대 도민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해서도 나아질것이라는 응답이 84.8%(크게 26.3%, 다소 58.5%)로 현재와 마찬가지(5.9%)나 더 낮아질것(6.8%)이라는 응답보다 월등히 높았다.

제주의 전반적인 변화에 대해서는 문화예술·레저스포츠(81.5%)와 정치·행정(77.4%)·교육분야(76.5%) 응답자들이 크게 달라질 것, 도민의 삶의 질에 대해서는 1차산업(37.5%)과 문화예술·스포츠레저 분야(40.7%) 응답자들이 크게 나아질 것이라는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삶의 질을 판단하는 요소는 소득수준(34.6%)과 사회복지수준(30.2%)을 중요하게 꼽았다. 이어 주택 등 생활여건(20.5%), 문화예술 공간·수준(8.8%), 교육·육아(2.4%)와 근로여건(2.4%)순으로 응답했다. 1차산업(50.0%)과 교육분야(47.1%) 응답자들은 소득수준, 경제·관광분야(31.0%)는 생활여건, 환경·시민사회단체와 사회복지분야(46.5%)는 사회복지수준, 문화예술·스포츠레저분야(29.6%)는 문화예술 공간·수준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2020년대 가장 바람직한 제주 발전방향으로 세계적 관광·휴양중심지(31.0%, 2개 복수응답 평균)와 세계적 생태도시(13.0%), 동북아·세계평화의 중심지(12.6%)를 제시했다. 이어 청정1차산업 중심지(11.1%), IT·BT 등 첨단산업 중심지(10.7%), 국제자유무역도시(9.0%), 의료·실버산업 중심지(8.3%), 교육산업 중심지(2.8%) 순으로 응답했다.

경제·관광분야 응답자(39.3%)는 동북아·세계평화의 중심지, 1차산업(22.9%)은 1차산업 중심지, 환경·시민사회단체·사회복지(13.0%)와 교육(20.6%)은 세계적 생태도시, 문화예술·스포츠레저(17.3%)는 첨단산업 중심지를 꼽은 비율이 다른 분야 응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 제주의 경쟁력

도내 각계 인사들은 제주의 경쟁력으로 청정 자연환경을 압도적으로(80.5%) 꼽았다. 동북아 중심의 지리적 이점이 9.8%, 지하수와 독특한 문화가 각각 3.9%, 사람(인재)은 1.5%에 불과했다.

환경·시민사회단체·사회복지 분야(90.7%)와 교육 분야(88.2%) 응답자는 청정 자연환경, 법조·의료(14.3%)는 지하수, 문화예술·스포츠레저(22.2%)는 동북아 중심 지리적 이점을 꼽은 비율이 다른 분야 응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제주의 성장동력으로 활용할만한 자원은 바다(28.4%)와 한라산(25.0%)을 우선적으로 꼽았고, 오름 16.7%, 바람 10.8%, 돌 8.8%, 신화 4.9%로 응답했다.

1차산업 분야 응답자들은 바람(16.7%)과 한라산(37.5%), 환경·시민사회단체와 사회복지는 오름(30.2%), 문화예술·스포츠레저는 신화(22.2%), 법조·의료는 돌(14.3%), 교육은 한라산(41.2%)과 바다(47.1%)를 꼽은 비율이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지속가능한 발전차원에서 제주도의 적정인구수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3.9%가 70만명이상∼100만명 미만, 30.2%가 100만명이상∼150만명 미만이라고 응답해 100만명 내외가 적정 인구수준으로 제시됐다. 이어 50만명이상∼70만명 미만이 17.1%, 50만명미만과 150만명이상∼200만명 미만이 각각 3.9%, 200만명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다.

정치·행정(54.8%)과 교육분야(52.9%) 응답자는 70만명이상∼100만명미만, 1차산업은 50만명 미만(25.0%)과 50만명이상∼70만명미만(25.0%), 문화예술·스포츠레저(40.7%)는 100만명이상∼150만명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분야 응답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간 적정 관광객수는 700만명이상∼1000만명미만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46.8%로 가장 높았고 1000만명이상∼1500미만이라는 응답도 25.9%로 나타났다. 이어 500만명이상∼700만명미만 17.1%, 1500만명이상 7.3%, 500만명미만 2.9%로 관광객 유치 대폭 확대에 대한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정치·행정(51.6%)과 환경·시민사회단체·사회복지(51.2%), 문화예술·스포츠레저 분야(51.9%)는 700만명이상∼1000만명 미만, 법조·의료(38.1%)는 1000만명이상∼1500만명 이하, 교육(41.2%)은 500만명이상∼700만명미만이라는 응답비율이 다른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확충이 가장 시급한 기반시설은 공항(59.6%)과 문화·예술공간(18.2%)에 이어 사회복지시설(10.8%), 항만(5.4%)순으로 꼽았고 상·하수도와 학교는 각각 1.5%, 도로는 1.0%에 그쳤다.

정치·행정분야 응답자는 공항(93.3%), 문화예술·스포츠레저는 문화예술공간(18.2%), 법조·의료는 항만(9.5%), 교육은 학교(5.9%) 응답비율이 다른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특징이다.

□ 제주 특별자치도 과제

   
 
   
 
제주도와 2개 행정시-읍·면·동으로 개편된 행정구조에 대해서는 그대로가 좋다는 응답이 24.9%에 그쳤고 71.7%가 개선을 주문, 어떤 형태로든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세부방안에 대해서는 의견이 크게 엇갈렸다.

행정시를 폐지하고 도와 행정 읍·면·동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16.1%, 행정시를 두고 읍·면·동을 광역화하자는 의견이 12.7%, 행정시를 폐지하고 읍·면·동을 광역화하자는 의견이 11.7%, 행정시를 두고 읍·면·동을 광역화해 자치를 실시하자는 의견도 11.2%로 나타났다.

이어 행정시를 폐지하고 도와 함께 읍·면·동 자치를 실시하자는 의견이 10.2%, 행정시를 폐지하고 읍·면·동을 광역화해 자치를 실시하자는 의견이 9.8%로 읍·면·동 자치 실시에 대한 욕구가 적지않게 표출됐다.

1차산업분야(25.0%) 응답자는 행정시 폐지, 도와 행정 읍·면·동, 환경·시민사회단체와 사회복지(20.9%)는 행정시 폐지, 읍·면·동 광역화 자치실시, 문화예술·스포츠레저(25.9%)는 행정시-읍·면·동 광역화, 법조·의료(38.1%)는 그대로가 좋다, 교육(17.6%)은 행정시 폐지, 도-읍·면·동 자치실시에 대한 답변이 상대적으로 높다.

제주특별자치도정이 가장 역점을 둬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26.2%(2개 복수응답 평균)가 투자유치 확대와 일자리 창출, 19.4%가 특별자치도특별법·제도 보완 및 재정 확대를 꼽아 침체된 지역경제와 청년실업, 특별법 내용에 대한 실망감 등을 반영했다. 이어 도민통합(10.7%), 공직사회 개혁 및 전문성 향상(10.2%), 생태·환경보전(8.9%), 1차산업 경쟁력 강화(8.8%), 자치역량 강화(8.4%), 사회안전망 구축 등 복지 확대(4.1%), 구도심·재래상권 활성화(2.0%) 순으로 응답했다.

정치·행정(30.7%)과 법조·의료분야(32.5) 응답자는 투자유치 및 일자리 창출 확대, 1차산업(24.3%)은 1차산업은 1차산업 경쟁력 강화, 교육(21%)은 특별자치도법·제도 보완 및 재정확대에 대한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제주의 미래비전 실천을 위한 우선 과제는 실질적 계획 시행(35.1%)과 개발방향에 대한 도민적 공감대 형성(27.3%)이라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이어 투자유치 여건 개선 및 상품 개발 14.1%, 도와 도의회, 시민단체·주민 등 민관협치체제 구축 7.8%, 국비·자체 재원 등 재정 확대 7.3% 등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주도개발특별법과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 등 지난 1991년이후 특별한’법이 계속 시행됐음에도 개발 방향과 각론에 대한 도민사회 내부 이견 등으로 도민적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실질적인 계획을 제대로 수립·시행하지 못한채 제자리걸음 해온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치·행정(35.5%)과 교육분야(35.3%) 응답자들은 도민적 공감대 형성, 1차산업(50.0%)은 실질적 계획 시행, 법조·의료(28.6%)는 투자유치 여건개선·상품 개발에 대한 응답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

□ 분야별 과제

   
 
   
 
도내 각계 인사들은 개방화시대 1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제로 경쟁력있는 분야 중심의 구조조정(38.0%)과 친환경·청정생산체제 확대(31.2%)를 우선적으로 주문했다. 12.7%는 1차산업 종사자 의식 전환, 9.8%는 유통구조 개선, 3.4%는 가공산업 육성이라고 응답했다.

정치행정(48.4%)과 법조·의료분야(47.6%) 응답자들은 경쟁력있는 분야 중심의 구조조정, 1차산업(25.0%)은 종사자 의식전환, 교육(47.1%)은 친환경·청정생산체제 확대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다.

국제적 관광지 도약을 위해 역점을 둬야 할 부분은 55.1%가 한라산·오름·해양 등 생태체험관광을 꼽았다. 이어 레저스포츠관광 14.1%, 평화의 섬 이미지 활용한 상품개발 8.8%, 소핑관광상품 6.8%, 위락시설 확충 6.3% 순으로 응답했다.

1차산업분야(29.2%) 응답자들은 평화의 섬 이미지 활용한 상품 개발, 환경·시민사회단체와 사회복지(67.4%)는 생태체험관광, 법조·의료(38.1%)는 레저스포츠관광에 대한 주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환경과제는 지리정보시스템(GIS) 보완을 통한 개발·보전 원칙 정립(39.5%)과 곶자왈 등 생태계·지하수 보전(33.2%)을 우선 꼽았다. 9.8%는 청정에너지 도입 확대, 8.8%는 환경단체 등과의 민·관협력시스템, 8.3%는 통합영향평가 기능 강화라고 응답했다.

정치·행정분야(54.8%) 응답자들은 GIS 보완을 통한 개발·보전 원칙 정립, 환경·시민사회단체와 사회복지(16.3%)는 청정에너지 도입 확대, 교육(64.7%)은 생태계·지하수 보전에 대한 응답비율이 다른 분야 응답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다.

응답자들은 사회복지 서비스 제고를 위한 과제로 장애인·여성·노인 등 취약계층 기본생활 보장(22.9%)과 사회복지 재원 확대(20.5%)를 우선 주문했다. 이어 자활기반 확충(18.5%), 사회복지 시설 확충(13.2%), 취약계층 사회참여 확대(10.7%) 순으로 응답했다.

1차산업분야(32.3%) 응답자들은 자활기반 확충, 경제·관광(23.8%)과 법조·의료(23.8%)는 사회복지 시설 확충, 문화예술·스포츠레저(37.0%)와 교육(35.3%)은 취약계층 기본생활 보장에 대한 의견이 상대적으로 많게 나타났다.<오석준 기자·설문 통계 김효영기자>

저작권자 © 제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