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없는 제주 만들기 1. 프롤로그
생활폐기물 발생 10년새 2배 증가
처리 시설 등 광역화·일원화 추진
지역 경제 선순환 체계 구축 필요
자원 순환 문화·공감대 형성 절실
제주는 매년 도민은 물론 관광객이 버리는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생활폐기물은 물론 곳곳에 버려지는 대형폐기물과 해양쓰레기, 바다로 흘러가는 오·폐수는 청정 제주의 민낯을 드러낸다. 넘쳐나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매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새로운 시설이 지어지고 있으며, 혐오시설이라는 인식으로 부지 선정과 운영에 난항을 겪기도 한다. '쓰레기 없는 섬'을 만들기 위해 인프라 확충과 시스템 개선을 넘어 지역사회의 자원순환 동참 노력이 필요하다.
△늘어난 쓰레기, 분리배출 외면
제주는 관광객 증가와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인해 늘어난 쓰레기 처리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2010년 하루 638.8t이던 도내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2020년 1324t으로 10년새 2배 이상(107.2%) 급증했다. 지난해 제주지역 1인당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도 1.64㎏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다.
제주도에 따르면 제주지역 1일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코로나19 등과 맞물려 2019년 1233.5t에서 2020년 1323.9t으로 증가했다. 지난해는 가정 발생량만 1249t 수준일 것으로 잠정 집계되고 있다. 이 가운데 재활용률은 67.4%(841.6t)이다. 나머지는 소각(29.9%, 373.9t)되거나 매립(2.7%, 33.5t)된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 재활용선별시설 반입량을 기준으로 산출하는 재활용률의 경우 2017년 요일별 배출제가 시행된 이후 2018년 58.8%, 2019년 62.2%, 2020년 64.2%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선별과정을 거친 실제 재활용률은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대로 세척되지 않아 재활용할 수 없는 쓰레기가 뒤섞여 반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재활용선별시설 등에 유입된 재활용품 중 라벨이 제거되지 않은 페트병과 음식물이 담긴 플라스틱 그릇과 같이 오염 등 이유로 재활용할 수 없는 쓰레기는 폐기물처리시설로 반입돼 소각후 매립된다.
도내 대부분의 매립·소각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 들어오는 매립 폐기물 반입량은 운영을 시작한 2019년 3만6027t, 2020년 6만5452t에서 2021년 6만6187t으로 늘었다. 소각 폐기물 반입량은 2019년 1만1280t을 시작으로 2020년 14만1288t, 2021년 15만4287t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시설 포화 직면…광역화 추진
쓰레기 발생이 늘며 도내 처리시설은 이미 포화 상태이거나 포화를 앞두고 있다.
제주도내 폐기물처리시설은 지난해 말 기준 △매립시설 10곳(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매립시설, 봉개, 동부, 서부, 추자, 우도, 색달, 남원, 성산, 표선) △광역 소각시설 3곳(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내 소각시설, 남부광역환경관리센터,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 △선별시설 5곳 △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4곳 등 모두 22곳이다.
폐기물매립시설 가운데 봉개·동부·서부 매립시설은 매립률 포화로 운영이 종료됐다. 색달 매립시설 역시 지난해말 기준 매립률 99.4%로 포화 상태에 직면했다.
소각시설 중 북부광역환경센터와 남부광역환경관리센터는 야적 폐기물만 처리한 후 수년내 운영 중단이 예상되고 있다.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1일 처리용량 500t) 역시 폐기물 발생량이 지금과 같다면 35년 이내로 포화가 예상된다.
제주도는 늘어나는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신규 광역시설을 짓고 기존 시설과 일원화해 처리용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는 1일 처리용량 380t 규모의 신규 광역폐기물소각시설 건축을 추진하고 있다. 또 2023년 준공을 목표로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 광역생활자원화회수센터(1일 처리용량 재활용품 130t·대형폐기물 10t)를 공사중이다.
하지만 기존 시설 운영 과정에서 지역주민과 운영권 문제 및 악취 발생, 고용 지속 문제 등 크고 작은 잡음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주민 편익시설 제공 등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통한 경제 선순환 방안 모색 등이 앞으로의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도민 자원순환 인식 바탕돼야
제주도가 '쓰레기 없는 섬'이 되기 위해서는 폐기물 수거·처리 시스템 개선 및 자원순환 시설 등 인프라 확보를 넘어 폐기물 발생 감량, 분리배출, 에너지자원 활용과 같은 자원순환 문화를 조성하고 도민 인식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
제주도가 올해부터 '2030 쓰레기 걱정 없는 제주(WFI2030)' 기본 계획을 제시한 것도 폐기물 관리 정책의 패러다임을 처리에서 자원순환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다.
제주도는 WFI2030에 따라 2030년까지 4936억원을 들여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2020년 대비 30% 감축, 재활용률 90%, 직매립 제로(Zero)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먼저 폐기물 발생을 저감하기 위해 1회용 플라스틱 사용을 억제하고, 공공기관과 관광 분야의 플라스틱 줄이기에 나선다.
또 자원순환 인프라 확충을 위해 공공영역 폐기물 에너지 회수시설을 확충하고,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에 광역 생활자원회수센터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 산업 육성을 위해 순환자원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플라스틱 재활용 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미래 폐자원 활용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도민 인식 제고를 위해 자원순환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한다.신승은 기자
※이 기획은 환경공익기금 지원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요즘 레거시 언론들의 황색저널리즘에 받아쓰기로 점점 자리를 잃고 있는 가운데
지역 기반한 언론들의 활약이 반갑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