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각의 주체는 몸지각(知覺, perception)이란 감각 기관을 통해 사물이나 대상, 환경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 환경에 대한 인지 능력은 그것에 대한 지식으로 이어진다. 모든 지식은 경험을 필요로 한다. 경험이란 인간이 몸으로 체험하여 얻어진 정보체계라고 할 수 있다. 경험은 인간의 감각기관에 의해 얻어진 것으로, 시각(視覺)은 미와 추가 구별하거나,
지난 연재
전은자
2012.03.05 18:37
-
직감은 미 크로체는 '직감은 곧 표현'이라는 말로 표현주의 미학을 정리하였다. 그에 의하면 직감은 곧, 정신활동으로서 정감(情感)을 표현하고 객관적인 세계 속의 물질을 창조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어떤 것이 표현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직감으로 볼 수 없는데 여기서 말하는 표현은 "마음속에 실현되는 표현"을 가리킨다. 크로체는 표현이 "마음속에 실현"되면 저절로 그림을 그리는 활동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다. 그는 직감과 단순한 감각을 구별하는데 표현을 통해서 대상을 객관화하지 않으면 직관 혹은 표상이 아니며, 자연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나아가 그는 직감은 서정적 표현이고, 이 직감이야말로 곧 미이자 예술이라고 하였다.
지난 연재
전은자
2012.02.20 18:44
-
서정적인 아름다움 미(美)에 관한 논의는 역사 이래 줄곧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미란 어떤 논의를 거쳐 합의에 이를 사항은 아니다. 미의 문제는 개별성을 넘어서 사회적으로 확장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에 관한 개인적인 담론들이 무성하다. 개별적으로 미를 인식하고, 미에 대한 감성과 이성의 작용들이 그만큼 다양하다는 말이다. 화가의 미학적 시선 역시 화가 자신의 인생 경험의 총체로서 작용하지만, 순전히 개인적인 의식의 결과라고 설명하기는 어렵다. 개인은 사회적으로 교감하는 사회적 인간이다. 화가 또한 사회적 예술가라는 말로 대신할 수 있다. 화가
지난 연재
전은자
2012.02.07 09:41
-
작품, 화가가 가꾼 열매화가들을 볼 때 사람들이 제일 궁금해 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그들의 작품일 것이다. 화가들의 작품이 어떤 의미를 가지며, 주제의 모티프는 무엇인지, 어떤 과정을 거쳐 작품이 완성되는 지 등 화가들의 작품은 무척 흥미로운 대상이 아닐 수 없다.작품에는 화가들 저마다의 삶의 편린이 녹아있다. 화가는 자신의 삶에서 인상적인 것이나 충격적
지난 연재
전은자
2012.01.16 17:40
-
바다 한가운데 솟아 오른 성산, 예나 지금이나 해돋이 명소신년마다 일출을 보는 것은 기복(祈福)을 준다는 믿음 때문 성산일출봉임진년 올해도 작년에 이어 안타깝게 하늘이 흐려 해돋이를 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나, 여전히 사람들의 마음에는 희망이 솟아올랐을 것이다. 신년 때마다 일출을 보는 것은 기복(祈福)을 주기 때문이라고 믿는 관념이 있다. 옛 선비들도 해
지난 연재
전은자
2012.01.02 17:27
-
탁월한 화가 클림트는 그가 살았던 시대 반영하는 시각적 대변인 유디트, 영웅적인 인물상이 아니라 관능적이고 매혹적인 팜므파탈전통의 단절과 아르누보과거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사람들을 일러 보수주의자라고 한다. 자칫 전통을 보수주의적인 생각으로 수용하게 되면, 구체제의 스타일을 그대로 현실에 옮겨오고, 그것을 미래까지 이어가게 하는 것을 말하게 된다. 그러나 전
지난 연재
전은자
2011.12.19 17:59
-
유럽을 휩쓴 낭만주의 역사적으로 낭만주의는 18세기말에서 19세기 전반에 계몽주의에 반대하여 일어난 사조이다. 미술사조로서 낭만주의는 신고전주의에 반발해 일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낭만주의 어원은 'romanticism'이다. 'romantic'은 영어의 'romance', 불어의 'roman'에서 유래한다. 이 로맨스나 로망은 중세 기사의 모험과 사랑을 노래하는 공상적인 이야기(시나 산문)이다. 'romanticism'은 공상적인, 놀라운, 환상적인, 감상적인, 감성적인 것과 관련이 있다. 'romanticism'을 한자
지난 연재
전은자
2011.12.06 09:42
-
제주에 30년 애정을 가졌던 박생광 화백 박생광(1904~1985)은 민족 채색화가로 잘 알려진 인물로 경남 진주가 고향이다. 호는 내고(乃古), 후에 '그대로'라는 자호를 썼다. 박생광의 제주에 대한 애정은 남달랐다. 일본화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그가 제주와 인연을 맺으면서 새로운 채색화의 경지에 이르렀다. 박생광이 언제 제주도에 왔다 갔는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1954년에 그린 이 제주 관련 최초의 그림으로 알려져 있다. 1967년의 , 1970
지난 연재
전은자
2011.11.22 09:31
-
렘브란트 신조 "그림은 화가가 완성되었다고 느껴야만 완성된 것이다.",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를 주제로 그려저지국(低地國)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저지국(低地國)'이라 하여 바다보다도 낮은 땅에 있는 나라다. 오래전부터 유럽의 남북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서 번영했던 지역이다. 운하를 배경으로 북
지난 연재
전은자
2011.11.07 17:58
-
전쟁의 참상, 민중 학살을 고발하는 작품을 그린 선구자피카소 고야에게 영감을 받아 그려고발과 저항의 수단으로서의 미술 동양미술로서 한국미술은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사대부 화가의 문인화, 도화서(圖畵署)의 화원화(畵員畵), 민간의 민속화(民俗畵)가 그것이다. 사대부의 문인화 취향은 체제의 기득권자로서 선비들의
지난 연재
전은자
2011.10.25 09:29
-
경제적인 여건과 미술재료 회화에서의 재료는 현대미술의 등장 이전까지 캔버스가 주류를 이루었다. 다다이즘 이후 회화의 재료는 생활 주변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다가 팝아트 이후에는 무엇이든지 필요에 따라 이용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회화 재료의 대세는 캔버스와 종이다. 재료는 회화의 분위기를 결정한다. 캔버스에 그려진 작품은 육중하고 중후한 맛을 주고, 종이에 그려진 작품은 가볍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캔버스는 유화나 아크릴을 주로 사용하고 종이는 수채와 펜, 연필을 주로 사용한다. 화가가 재료를 선택하는
지난 연재
전은자
2011.10.11 10:18
-
표현주의 예술 표현주의(expressionism)는 표현을 뜻하는 'expression'에서 파생된 말로, 1901년 프랑스 파리의 독립 살롱전 전시회 카탈로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독일에서는 1911년 '폭풍'을 뜻하는 독일 잡지에서 베를린 신예 작가들을 처음으로 표현주의라 지칭하였다. 1914년 이후부터 표현주의라는 용어는 대중화되기 시작하였다. 표현주의 운동은 회화에서 시작돼 조각, 음악, 문학, 연극, 영화 등 다양한 장르에 영향을 끼쳤다. 문학에서의 표현주의는 1930년대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9.27 10:27
-
눈과 두뇌로 그림을 그려라 예술에서 '파격'이란 새로운 창조로 진행되는 시작을 말한다. 또한 파격은 이전의 전통을 거부하거나 어떤 전통에서도 볼 수 없는 독창적인 실험적 행위와도 연관이 된다. 바로 미술의 역사는 이 파격의 문제처럼 하나를 완성하면 그것을 허무는 화가들에 의해 다시 시작된다. 세잔(Paul C?zanne, 1839~1906)을 '현대미술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세잔은 인상주의가 사물과 색채에만 사로잡혀서 형태를 소홀했다는 이유를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9.19 18:14
-
#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 예술19세기 후반, 러시아는 변화의 중심에 서 있었다. 오랜 억압의 상징인 농노제가 무너지고 새로운 자본주의 생산양식이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더불어 근대적인 사회제도가 도입되면서 변혁의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었다. 전제 제도에 얽매였던 민중들의 생활상은 비참하였고, 이를 아는 지식인들은 구제도의 혁파를 위해 러시아 민중들과 넓게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8.29 17:56
-
# 후기 인상주의와 자포니즘 후기 인상주의(post-impressionism)는 미술사가마다 바라보는 시각이 조금씩 다르다. 후기 인상주의는 '쇠라, 고갱, 세잔, 고흐를 포함하는 프랑스의 한 미술사조로 보거나, 인상주의 연장선상에서 이를 극복하고자 했던 운동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또 후기 인상주의라는 말 대신 '인상주의 주변의 화가'로 고흐, 로트렉을 분류하기도 한다. 후기 인상주의는 예술학파로 볼 수 없다는 견해 아래 '그들은 자신들의 예술적 이상에 대해 어떠한 선언을 하거나 전시회를 연 적도 없으며, 인상주의와 밀접한 관계를 갖지만 창작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며 후에 미술사가들이 인상주의와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명목상 후기 인상주의라는 명칭을 붙였다고 하기도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8.16 10:32
-
이야기 풀어내는 샤갈의 그림, 현실보다 더 흥미로워샤갈 특유의 개성으로 엮어내는 공간과 공간의 조화 시골 출신의 화가 샤갈샤갈의 작품은 동화적인 요소가 많다. 어릴 적 유대인의 삶을 환기시킨 이미지로 가득하다. 마르크 샤갈(Marc Chagall, 1887~1985)은 1887년 7월 7일 백러시아 비테프스크의 한 유대인 가정에서 아홉 남매 중 첫째로 태어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8.02 10:14
-
유망한 회사 그만두고 독학으로 화가돼 원시의 타히티로 떠나 가족과의 불화, 가혹한 현실의 빈곤과 싸우며 독창적 화풍 완성 # 원시를 동경한 화가"타히티로 떠나신다고 들었는데요. 거기에 가서 그림을 그리실 겁니까?"평안을 찾아 떠나는 겁니다. 문명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서죠. 제가 원하는 건 다만 단순한, 지극히 단순한 예술입니다. 세상의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7.19 10:08
-
읍호환칭과 가작표인 표류를 예기할 때 특히 기억할 만한 용어가 두 가지 있다. '읍호환칭(邑號換稱)'과 '가작표인(假作漂人)'이 그것이다. 가작표인은 '고표(故漂)'라고도 한다. 읍호환칭은 제주 사람들이 다른 나라에 표착했을 때, "우리는 제주도 사람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강진, 해남, 완도 등의 사람이라고 '지역을 속여서 말하는 것'이다. 고표는 '고의로 표류'하여 표착지에서 한양을 거쳐 제주로 돌아오는 것을 말한다. 광해군 11년(1611), 제주에 '남경인(南京人)과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7.05 10:15
-
1951년, 반전화(反戰畵)로 그린 전쟁과 평화를 담아낸 제주출신 화가 송영옥과 강요배# 합리화될 수 없는 전쟁6월의 습한 마파람이 제주의 땅에 스민다. 이런 6월은 한국 현대사에서도 잊을 수 없는 달이다. 민족 분단을 가져온 6·25. 세계사적으로는 'the Korean War'라고 하여 '한국전쟁'이라고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6.20 20:45
-
농부 화가 작품서 평안한 안식과 참다운 영혼의 위안 느낄 수 있어밀레의 「돼지잡기」, 「밀 타작」 제주 돗추렴, 도리깨질 문화와 유사# 우리에게 익숙한 「만종」지금까지 세상에서 가장 많이 복제된 작품 가운데 하나를 꼽으라면 아마도 장 프랑수아 밀레(1814~1875)의 일 것이다. 1865년 밀레가 한 친구에게 보낸 편지 내용은
지난 연재
전은자
2011.06.06 1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