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승식 의원(교육의원·서귀포시 동부)=농기계 임대사업 확대 견해는. 제주 관광사업 내실화 방안은. 유보통합을 위한 도청·교육청 협조 내실화 계획은. 지역별 장애인복지시설 확충 방안은.▲이남근 의원(국민의힘·비례대표)=지속가능한 도시관리계획 수립기준안 논란 지사 견해는. 제주우주산업 및 UAM 등 신성장 산업 국비 확보 방안은. 바이오산업 육성 및 성과 도출 시점은.▲현지홍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의료공백사태에 따른 제주 대응은. 응급의료·공공의료 강화 방안은. 지역화폐 정책 기조는. 신품진흥기금을 활용한 소상공인 지원 방안에
정치
김수환 기자
2024.09.04 15:11
-
제주경제를 지탱하는 세 기둥이 있다. 1차산업, 관광, 건설업이다. 이 중 하나만 휘청거려도 제주경제 전체가 위기에 처한다. 제주 경제 정책을 구성할 때 어느 한 분야 소홀히 하기 힘든 이유다. 민선 8기 도정은 1차산업, 관광, 건설업 분야를 더욱 튼튼히 하는 한편, 제주경제에 '신산업'이라는 기둥을 늘려 안정성을 높인다는 계획을 세웠다. 바야흐로 '제주경제의 대전환'이다. △제주경제동향 심상찮다제주도와 제주연구원이 조사한 4월 제주경제동향을 보면 각종 악성지표가 부각되고 있다.1차산업의 경우 농산물 출하는 늘었지만 수산물 생산은
진행 연재
윤승빈 기자
2024.06.02 17:22
-
제주경제는 농수축산업의 1차산업과 관광·서비스업 등의 3차산업의 비중이 높고 제조업 중심의 2차산업은 취약한 구조다. 이로 인해 외부 경제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지속적인 성장에 한계를 갖고 있다. 결국 제주도가 민생경제를 회생시키고 지속성장 가능한 경제산업 구조를 갖추기 위해서는 첨단기술 중심의 제조업을 함께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우선 제주도는 도내외 기업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상장기업을 지속적으로 육성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지원대상기업을 10곳에서 15곳으로 확대하고, 300억원 규모의 상장 육성펀드를 조성한다. 여기
진행 연재
김용현 기자
2024.05.30 17:20
-
제주한화우주센터가 오는 29일 하원테크노캠퍼스에서 첫 삽을 뜨면서 제주우주산업이 본궤도에 오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화시스템이 1000억원을 투자하는 제주한화우주센터 조성을 통해 초소형 위성을 직접 만들겠다는 것이다. 특히 신산업 성장, 고용 창출, 인재 양성, 세수 확보 등 전방위적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며, 고용 창출 효과는 1000여명으로 추산된다.한화우주센터를 필두로 제주우주산업이 추진될 경우 1차산업과 2차산업에 편중된 제주경제를 다시 개편할 수 있을 만큼 파급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산업이 속도를 내기 위해
사설
제민일보
2024.04.24 19:00
-
제주도가 위성 특화단지 조성 사업에 뛰어든 만큼 더욱 현실적이고 철저한 계획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우주기술은 최첨단기술의 집약체다. 기존 산업을 부흥시키고 신산업을 탄생시키는 동력이 되는 만큼 우주 분야 산·학·연 인프라 조성 및 전문인력 양성이 필연적이다. 또한 제주의 과학기술역량은 전국 하위에 머물러 있다.이처럼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제주 우주산업 발전을 위해서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 [편집자 주] 인센티브 구축 민간 기업 유치 용이산업 연계 인력 양성체제 구축 필요 연구개발 행·재정적 지원 필요 제주도와 한화시스템은 하원테
진행 연재
고은리 기자
2023.11.23 18:02